분류 전체보기
-
교통에 의한 도시의 발달 단계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8:39
1. 교통과 도시의 관계 ○ 도시의 교통망이 발달하여 접근성이 좋은 도시는 인구가 집중하게 되고 타도시에 비하여 성장하며, 교통망에 따라 도시 내 토지이용에도 영향을 줌 ○ 반대로 도시의 기능이 발달하면서 인구가 집중하게 되면 도시가 성장하게 되고, 거대해지는 도시 내 이동을 위하여 교통이 발달하게 됨 ○ 교통과 도시의 성장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형성 ○ 교통이 발달할 수록 도시가 외면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음 2. 교통의 변화와 도시발달 단계 도보, 우마차 시대 철도, 전차 시대 자동차 시대 도시 간 고속교통 시대 ○ 고대에서 현대까지 발달한 도시 대부분의 특징은 교통조건이 좋았던 곳 ○ 교통의 발달은 도시의 평면적 확대를 가져옴 ① 도보, 우마차 시대 - 이동성의 제약으로 지역의 영역이 대체로 좁..
-
4차 산업혁명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6:50
1. 개념 ○ 정보통신기술(ICT)이 인공지능, 사물인터넷(IoT), 빅데이터 등과 결합되어 급격히 진보한 기술적 혁명 ○ 이로인해 생산성이 향상되고, 경제,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남 2. 주요내용 (1) 1~4차 산업혁명과 도시서비스 ① 1차 산업혁명 : 1784년, 증기기관 발명, 생산(식량 및 재화)설비의 기계화, 생산 및 도시서비스의 양적 증가 ② 2차 산업혁명 : 1870년, 전기 발명, 생산 및 도시서비스의 질적 도약 ③ 3차 산업혁명 : 1969년, 컴퓨터 발명, 생산 및 도시서비스의 자동 · 첨단화 ④ 4차 산업혁명 : 21세기 이후, 로봇 및 인공지능의 발명, 생산 및 도시서비스의 자동 · 첨단화 극대화 (2) 4차 산업혁명의 프로세스 ○ I.C.B.A ① IoT : 사물 센서..
-
메가시티(Very Large City)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6:44
1. 개념 ○ 인구 1,000만명 이상의 도시 2. 주요내용 (1) 인구규모 및 도시형성에 따른 도시 명칭 ○ Metropolis(대도시) :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 : 우리나라의 경우 광역시 급 ○ Mega City(거대도시) : 인구 1,000만명 이상의 도시 :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특별시 ○ Megalopolis(Mega-Region, 거상도시) : 대도시 이상의 도시들이 띠모양으로 모여 연담화 된 도시 : 미국 동부지역 ○ Meta City(Meta-Region) : 인구 1천만명 이상의 거대 메가시티들이 공간적인 한계를 초월(Meta)하여 하나의 경제권으로 형성된 개념 : 서유럽 (2) Ekistics Unit(인간정주체계)의 15가지 분류 개인 - 방 - 가옥 - 취락(인보구 정도) - ..
-
도시계정 주택도시기금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6:06
1. 개념 ○ 주거복지 증진과 도시재생사업 등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금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기금 중 도시재생사업 등을 위한 기금 ○ 주택도시기금은 주거계정과 도시계정으로 나누어 운용하며, 도시계정 주택도시기금은 도시 재생사업 등에 사용 ○ 반면 주거계정 주택도시기금은 구민주택, 임대주택 건설 등에 사용 2. 주요내용 (1) 기금의 조성 ○ 일반회계로 부터의 출연금 또는 예수금 ○ 지역발전특별회계로 부터의 출연금 또는 예수금 ○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 부터의 예수금 ○ 주택계정으로 부터의 전입금 또는 차입금 등 (2) 기금의 사용 ○ [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]에 의한 정비사업 ○ [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]에 의한 공공시설 ○ 도로, 공원, 주차장, 학교, 도서관, 사회복지시설, 문화시설, 공공청사 설치..
-
축소도시(Shrinking City)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5:22
1. 개요 ○ 과거 산업중심도시가 많이 형성 되었던 미국, 유럽 등의 도시들이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최근 심각한 경제 사회적 축소 위기를 겪고 있음 ○ 이러한 특징의 도시들을 축소도시라 불림 ○ 1950년 이후 탈산업화, 교외화, 인구변화에 따른 도시구조 변화가 일어남 ○ 도시성장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쓰이며, 쇠퇴, 침체, 열악, 낙후의 의미 2. 개념 ○ 도시기능의 축소로 인해 오염지역, 버려진지역이 생겨나고, 기존 산업지역에서 주변지역으로의 공간적 확산, 주변지역으로의 인구이동 등이 일어나 교통비가 증가하며,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특징을 가지는 도시 ○ Wiech Mann(2007) : 2년 이상 인구감소, 경제 변형의 구조적 위기를 겪고 있는 인구 10,000명 이상의 인구 밀집 도시지역으로 정..
-
생활인프라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3:47
1. 개념 ○ 거주민이 주거, 근로, 교육, 휴식, 육아, 이동 등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생활환경의 기반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나 시설물 2. 주요내용 (1) 관련법률 ○ [도시의 지속가능성 및 생활인프라 평가지침] - [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]의 하위지침 - 이 지침을 통해 해당지역의 생활인프라의 다양성과 질을 평가하여 현상을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 (2) 생활인프라 종류 ○ 보육시설, 유치원, 초등학교 ○ 의료기관 ○ 공원, 녹지 ○ 폐기물처리 시설 ○ 보행자 및 자전거도로 ○ 근린생활시설 등 (3) 생활인프라 평가 지표 ○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평가 후 지자체 정책에 반영 ○ 평가지표 종류 - 도시사회부문(방재, 안전, 사회복지, 문화) : ex. 인구 천명 당 경찰관 수 - 도시경제부문(인구..
-
오버투어리즘(Over Tourism)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2:56
1. 개념 ○ 관광객이 지나치게 몰려 주민이 피해를 보는 현상 ○ 교통혼잡이나 관광객의 무질서한 행동으로 주민의 피해가 심각 2. 주요내용 (1) 오버투어리즘 대책 ○ 이탈리아, 베네치아 - 호텔신축 금지 ○ 페루, 마추픽추 - 하루 방문객 2,500명으로 제한 (2) 우리나라의 오버투어리즘 ○ 서울(북촌, 한옥마을), 부산(감천, 문화마을), 제주도 3. 생각해야 할 화두 ○ 경관치장과 관광(단)지 개발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. 도시재생, 농촌재생, 마을살리기와 같은 활성화 대책으로 지역발전을 추구할 때, 그 대상사업으로 관광(단)지 개발이 보통 이루어진다. 과연 이것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필요한 것인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. 모든 지역개발, 도시계획, 도시개발 및 정책 등의 근본적인 목표는 지역을..
-
디지털트윈(Digital Twin)카테고리 없음 2021. 12. 6. 12:48
1. 개념 ○ 가상시물레이션 기술로써 현실 정보를 가상으로 바꾸어 원하는 현상을 구현하는 것 ○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각종 정책, 개발 및 계획제도 등을 미리 구현하여 실현방안을 사전에 모의할 수 있음 2. 주요내용 (1) 스마트시티와 디지털트윈 ○ 2019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서 "디지털트윈 사업"에 총 50억원 투입 ○ "규제샌드박스 시범사업"(56억) 다음으로 많은 금액 ○ 디지털트윈을 도시계획 분야에 활용하고자 노력 중 (2) 도시계획 분야의 디지털트윈 효과 ○ 도시 내 정책을 직접 실행해 보기 전에 가상현실로 미리 적용하여 가장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도시운영의 효율성을 증대 ○ 도시 재난 상황, 도시기반시설 설치 효과 등, 도시를 대상으로한 여러 실험을 물리적 제약 없이 진행함으로써 효과적..